Tool18 디컴파일러(Decompliers) 디컴파일러(Decompilers)는 바이너리를 역으로 컴파일해주는 툴이다. 역으로 컴파일을 하여 어셈블리어로 코드가 나타나거나 리소스 파일들이 추출된다. 디컴파일러를 사용하려면 바이너리 분석 툴을 이용하여 바이너리의 컴파일러와 해당 버전을 알아내고, 해당 컴파일러를 지원하는 툴을 찾아서 실행만 하면 된다. 바이너리가 패킹이 되어있으면 언패킹하고 바이너리의 컴파일러가 어떤 것인지를 PEID와 같은 바이너리 분석툴로 확인이 가능한 상태이어야 디 컴파일러를 사용할수 있다. 분석 후 프로그램을 제작한 환경에 맞게 디컴파일러를 사용하면 원래 소스와 비슷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주요한 디컴파일러들이다. 자바 디컴파일러 : 델파이 디컴파일러 : 플래시 디컴파일러 : 닷넷(.net) 디컴파일러 : 2009. 11. 7. 아이다(IDA)에 MS 심볼 서버 연동하기 아이다(IDA)로 윈도우 바이너리를 리버싱하게 되면 Functions window에서 함수의 이름이 보이지 않고 'Sub_주소' 으로 보이게 된다.(다음 화면은 winmine.exe를 open한 화면) 이러면 분석이 어려우므로 함수의 이름을 보기 위해 MS 심볼 서버와 연동을 시켜야 한다. MS 심볼 서버 : MS에서 디버그 심볼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아 디버깅 시 디버그 심볼도 같이 포함되어 디버깅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콜스택이 제대로 보여지게 된다. (참고 : 심볼 서버의 기능을 요약하면 '덤프 파일이 생길 때의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심볼들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다) Determina PDB Plugin for IDA Pro 라는 IDA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IDA에서도 디버그.. 2009. 11. 6. 아이다(IDA)에 Hex-Ray 연동 IDA에 Hex-Ray라는 디컴파일러 플러그인을 장착하면 분석에 가속도를 붙일 수 있다. (참고 : IDA의 플러그인은 openRCE에 잘 정리되 있다.(OllyDBG의 플러그인도 이사이트다)) http://www.openrce.org/downloads/browse/IDA_Plugins hex-ray 다운 : http://dakuo.tistory.com/23 hex-ray를 설치하시고 IDA에서 F5를 누르시면 디컴파일된 C언어 코드를 볼수 있습니다. C언어 소스를 작성한 후 hex-ray로 디컴파일 한 후 각각의 소스를 비교해보면 코드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상당히 비슷하다는 걸 알수가 있다. 2009. 11. 6. 아이다(IDA) 사용법 디스어셈블러 : 바이너리 파일을 역으로 어셈블리어로 재구성해주는 툴 IDA가 거의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기능도 다양하다. 아이다(IDA)의 장점 : 1. 거의 모든 CPU를 지원 2. FLIRT(Fast Library 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Technology)는 기계어의 코드로부터 컴파일러 특유의 Library 함수를 산출해낼 수 있는 강력한 기능 3. 각종 플러그인 지원 4. Obfuscation(난독화) 코드도 해석이 잘됨 IDA 설정 : IDA의 설정 파일은 ..\IDA\cfg 경로에 있으며 세부 설정을 할 수 있다. 단축키(idagui)를 재설정할 수 있고 disable된 설정을 enable시킬 수도 있다. 디스어셈블 상태와 디버깅 상태에서 특정 어셈블.. 2009. 11. 2. 시스템 모니터링 툴 파일과 레지스트리 변화와 네트워크 상태, 프로세스의 상태를 분석하는 툴들을 소개한다. (2010. 11. 15. 월요일 확인결과 Filemon 이 없어지고 Process Moniter 가 생겼네요. 사용법은 똑같으니 다운받아서 아래처럼 사용하세요 ㅎㅎ) ProcessMonitor : 어플리케이션이 파일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서 오픈, 읽기, 쓰기, 삭제 등의 상황을 정확히 출력해준다. Filemon.exe를 실행하면 돋보기 모양 : 모니터링(Ctrl+E), 모리시계모양 : 필터링(Ctrl+L) 돋보기 모양의 모니터링 버튼(Ctrl+E)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시작 · 중지를 할수 있다. 프로그램을 켜놓기만 하면 이벤트 정보가 로그로 쌓이지만 그 양이 너무 많아서 옵션을 주어야 한다. 먼저.. 2009. 11. 1. 올리디버거(OllyDBG) 사용법 리버싱을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툴중에 디버거라는 것이 있다. 이 디버거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올리디버거(OllyDebugger)이다. odbg110.zip를 다운로드 받아서 odbg110 폴더에 압축을 풀고 Plugin폴더와 UDD폴더를 생성한다. Win32_Programmers_Reference.rar로 압축을 풀어 wn32.hlp 파일을 obdg110 폴더에 넣는다. BOOKMARK.dll과 cmdline.dll은 Plugin폴더에 넣는다. Ollydbg.exe를 실행하고 Option -> Appearance ->Directories를 열고 그림과 같이 경로 설정을 하고 다시 실행을 해준다. 이외에 설정해 주면 좋은 옵션은 작업관리자의 프로세스 목록에서 바로 디버깅 연결이 가능한 Jit(Just.. 2009. 10.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