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er Dakuo154 OSI 7계층(Layer)과 TCP/IP 4계층 OSI 7계층 TCP/IP 4계층 7. 애플리케이션 계층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진행되는 계층이다. HTTP, SMTP,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실행된다. 6. 프레젠테이션 계층 : 분산되어 온 데이터를 재조합하여 표현하거나 데이터를 보내기 좋게 조각낸다. 5. 세션계층 : 연결세션에서 에러를 복구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하며 연결을 유지한다 4. 트랜스포트 계층 : 데이터를 상대에게 보낸다. TCP, UDP 프로토콜이 있다. TCP : 데이터의 신뢰성을 중시한다.(상대가 데이터의 수신이 안됬거나 잘못된 데이터가 갔을경우 재전송한다) UDP :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중시한다.(상대의 수신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스트리밍 서비스 등에 사용 3. 네트워크 계층 : 프로토콜 IP 어떤 경로를 통해 상대에.. 2010. 11. 15. C로짠 Client Windows Socket 소스 C로짠 Client Windows Socket 소스입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pragma comment(lib, "ws2_32.lib") #define IP "127.0.0.1" #define PORT 80 int main() { WSADATA wsaData; SOCKET client; SOCKADDR_IN serveraddr; char buf[1024]; WSAStartup(0x0202, &wsaData); printf("WSAStartup : %d\n", WSAGetLastError()); client = socket(AF_INET, SOCK_STREAM, IPPROTO_TCP); printf("socket : %d\n", WSAGetLastError()); serve.. 2010. 11. 15. Java 로 짠 Raw Socket 소스 웹서버에게 요청을 웹브라우저가 아닌 프로그램으로 해야될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소스입니다. (Raw Socket) import java.net.*; import java.io.*; class raw_socke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 Construct data String data = URLEncoder.encode("key1", "UTF-8") + "=" + URLEncoder.encode("value1", "UTF-8"); data += "&" + URLEncoder.encode("key2", "UTF-8") + "=" + URLEncoder.encode("value2", "UTF-8"); // Creat.. 2010. 11. 15. 해킹 & 보안 공부 가이드 원문 : "제가 주로 추천해드리는 방법은 우선 C언어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히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는,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혹은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래밍 등의 시스템 의존적인 프로그래밍을 하게되면, 해당 시스템도 알 수 있고, 프로그래밍도 알 수 있고, 시스템에 대한 프로그래밍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구요. 그렇게 되면, 어차피 해킹은 기반지식에 발상의 전환만 가미한거라고도 볼 수가 있기 때문에 관련 기술들을 학습하시는데에 큰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됩니다. 책은, 요즘에 잘나온게 너무 많아서 한번 직접 서점에 가셔서 보시고, 꼭 두권 이상은 사시길 권해드립니다. 혹시라도 구매한 한권의 책이 안좋을 경우엔 공부에 상당한 지장을 줄 수도 있으니까요." - by hkpco hkpco님의 말씀을 정.. 2010. 10. 6. 100일 수련 무협지에 보면 주인공들이 100일 동안 굴이나 절에 들어가서 훈련만 하는 모습이 나오잖아요!!!!! 요새 공부가 더딘점을 반성하면서 저도 오늘부터 100일동안 놀지 않고 웹서핑도 끊고 눈뜬 시간에 오로지 공부만 하며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음의 책들을 마스터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요새 블로깅이 뜸한 이유는 뭐랄까요 제 블로그에 있는 자료중 대부분은 책에 있는 내용을 정리만 해서 썻을뿐입니다. (책을 쓰신 저자분들께는 죄송합니다) 이래서는 타 블로그들과의 차별성도 없는 거 같고 차라리 책내용을 깊게 익힌 후에 저만의 설명방법과 구성으로 재창조해서 블로깅 하는게 어떨까 구상중입니다. 그래서 당분간은 리버싱 강의(최근에 학교생활을 시작해서 좀 바뻐서 이것도 자주는 못올리겠네요)외의 그냥 간단한 내용만 블.. 2010. 9. 9. 내 도메인(domain) 주소 가지기 도메인 : 숫자로 된 IP 주소를 기억하고 알기 쉽게 영문으로 표기한 주소이다.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를 요청하면 등록된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주소와 매핑된 IP 주소로 바꿔준다. 도메인 설정하기 : http://www.dyndns.com/ 위의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한다. (Sign up -> free Sign up) 위의 정보들을 입력한 후 Add To Cart 를 눌러 등록한다. (아래 부분은 사용할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후부터의 도메인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따라 다르다. 1. 고정 IP 사용자(일반 사용자) 2. 고정 IP 사용자(공유기 사용자) 3. 유동 IP 사용자 1. 고정 IP 사용자(일반 사용자) : 끝.... 2. 고정 IP 사용자(공유기 사용자) : 시작 -> .. 2010. 8. 14. 이전 1 2 3 4 5 6 7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