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10 어셈블리 디자인을 통한 컴퓨터 구조의 접근 1. 레지스터 디자인 고려 사항 : 레지스터 용량 레지스터 갯수 레지스터 각각의 용도 예) 레지스터 용량 : 16비트, 레지스터 갯수 : r0 ~ r7 (8개) 레지스터 용도 : r0 ~ r3 (저장용), r4(ir : instruction register), r5(sp : stack pointer), r6(lr : link register), r7(pc : program counter) (참고 : ir 은 다음번에 실행하게 될 명령어를 미리 가져다 놓는 용도로 사용된다) 2. 명령어 구조 디자인 명령어의 구조는 레지스터의 용량, 갯수, 용도에 종속적으로 구성될수 밖에 없다. (예 : 레지스터가 4개 일때와 8개 일때 명령어 내부에 레지스터를 표현해야할 비트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어셈블리 언어로 구현된 .. 2010. 2. 9. 시스템 프로그래밍(System Programming)의 시작 시스템 프로그램(System Program) : 컴퓨터 시스템을 동작시키거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1. 컴퓨터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Main Components) 컴퓨터 구조(Computer Architecture) : CPU 캐쉬(Cache) ↕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메인 메모리(Main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2. 컴퓨터 구조 : 1) CPU :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ALU(Arithmetic Logic Unit) : CPU 내부에 실제 연산을 담당하는 부분. 산술연산(+, -)과 논리연산(AND, OR)을 수행 컨트롤 유닛(Control Unit) : CPU 내부로 들어온 명령어를 해석해서 A.. 2010. 2. 8. 메모리 패치(Memory Patch) 메모리 패치(Memory Patch) : 윈도우 운영체제가 사용중인 메모리 값들을 검색해서 원하는 값으로 변경을 하는 것 유명한 툴로는 티서치(Tsearch)와 치트엔진(Cheat Engine)이 있다. 티서치(Tsearch) : 1. 메모리 값 수정 2. 어셈코드를 추가해 넣는 코드인젝트(Code Inject) 3. 바이너리 수정(Hexedit) 4. 동적 메모리 할당(DMA) 방식의 메모리 값 수정 티서치를 이용하여 간단한 메모리 값 수정을 해보겠다. 그 외의 기능은 Help메뉴를 실행하면 제작자가 메뉴얼을 스샷과 예제 파일까지 포함시켜 쉽게 익힐 수 있다. 1. Open Process 2. 메모리의 특정 값 검색 3. 메모리 주소를 검색한 결과창 4. 메모리 주소의 값을 수정하는 곳 원하는 메모리 .. 2009. 11. 7. 스택과 콜링컨벤션의 이해 Function(1, 2)라고 선언이 된 함수가 사용된다면 push 2 push 1 call 004017E0 이와 같은 어셈블리 코드가 되는데, 파라미터는 뒤에서부터 push가 된다. 그 이유는 스택(stack)에 값을 순서대로 쌓아놓고, 나중에 쌓인 값을 우선으로 해 빼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메모리 구조는 그림과 같다.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들이 메모리에 적재되어야만 한다. Text : 컴파일된 프로그램 소스가 기계어의 형태로 위치 Data : 프로그램에서 초기화된 데이터들의 위치 BSS :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들의 위치. 항상 0으로 초기화됨 Stack : 지역변수, Command Line arguments 위치 Heap : 동적으로 할당된 변수들이 위치 Stac.. 2009. 10. 26. 이전 1 2 다음